■ 웹표준 기본

- 웹표준 마크업은 표준에 맞는 요소속성을 사용해야 한다.

- 웹표준이란 요소를 의미에 맞게 마크업해야 한다.

- 웹표준이란 구조 / 표현 및 동작 / 제어 및 동작 의 분리다.

 

■ 폼만들기

- 프로토콜은 http 프로토콜

- 방식은 GET / POST 방식(PUT, DELETE 도 있음 : 나중에 REST 할 때 사용)

-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넘어가는 데이터는 파라미터(Parameter)

파라미터는 이름(name)값(value) 로 구성

- GET 방식은 주소의 뒷부분에 ?id=test 이렇게 넘어감. 이를 쿼리스트링(QueryString) 이라고 한다.

- POST 방식은 요청프로토콜 body 로 파라미터가 넘어감

* 요청프로토콜 body? => 찾아보자.

- 폼은 <form> 요소

- input , select , textarea 등에 반드시 name 속성을 써줘야 파라미터가 넘어갑니다.

 

■CSS

- 박스모델이란 width, height, padding, border, margin 을 모두 더한 크기다.

- 요소는 블록레벨(block-level)인라인레벨(inline-level) 이 있다.

- 브라우저가 가진 기본 css 가 있다. ex) ul 이 가진 기본 css 는 margin, border, list-style 등이 있다.

- <a> 요소는 인라인레벨 요소이다. 크기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블록레벨로 변경해야 한다.

- 블록레벨을 수평으로 배치ㅣ키기 위해서는 float 속성을 ㅇ지정하거나, 아니면 display 속성은 inline-block 으로 지정하면 된다.

- 포지션속성의 기본값은 static 이다. 이 경우 left, top, bottom, right 를 지정해도 움직이지 않는다. 

- 포지션 속성은 reletive, absolute, fixed 가 있다.

- float 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. 이에 대한 해결책은

   1. 부모요소에 overflow:hidden 을 준다.

   2. 부모요소에 height 값을 적절하게 지정한다.

   3. float 이 끝나는 마지막 형제요소에 clear:both 속성을 지정한다.

- 마진은 겹침 현상이 있다. 부모와 자식간의 마진 겹침도 있다. 이에 대한 해결책을 막아주거나 (border, padding 아니면 overflow 속성을 지정한다.

 

■javascript / jquery

- javascript 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브라우저(Browser) 에서 작동된다.

- javascript 의 대표적인 자료형은 숫자형 , 문자열형 , (ㄴㄹ형) 이 있다.

- 확인 버튼 한 개가 있는 다이얼로그창을 띄우는 함수는 alert 이다.

- 변수를 선언할때는 var 키워드를 쓰고 변수명을 써준다. 

* var 을 쓰는건 좋지 않다고 들었음. =>찾아보자.

-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. 영어로는 variable

- 변수는 선언과 대입(처음에 하는것을 초기화)이 중요하다

- 함수는 영어로 function 이다. 함수는 선언호출이 중요하다. 함수는 호출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다.

- jquery 를 쓸때는 <script> 요소를 이용하고 src 속성세 jquery.js의 파일 경로를 써준다.

- jquery 에서 우선 기억할 것은 달러($) 이다.

- jquery 에서 css 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css 메서드를 사용한다.

- jquery 에서 글자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text() 메서드를 사용한다.

- 함수안에서 그 요소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는 this 다. 그 this 는 순수 자바스크립트객체다.

- jquery객체로 변환하려면 $(this) 이렇게 하면 jquery 객체로 변환된다.

- jquery 객체의 index 값을 얻어오고 싶으면 index 매서드를 사용한다.


최근 글